Loudness & Level 6

RMS Explained

시그널의 평균을 계산하는 이유는 시간 전력이 흐르면서 에너지가 어떻게 구해지는지 알기 위함. RMS레벨은 주관적인 음량의 완벽한 척도는 아니지만 계산하기 쉽고 구현하기 쉬워 신호의 크기를 파악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. 즉 신호의 크기를 인관되게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. RMS는 주파수 측면을 고려하지 않지만 음원의 시간적 측면을 고려한다. 즉 시간적 변화를 반영하여 전체 신호의 크기를 평가하는 지표가 된다.

Loudness & Level 2024.06.24

How large are signals

Sound : 공기같은 매질을 통해 전파되는 압력 파동이 청각 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현상. Audio : 소리를 전기적으로 또는 디지털적으로 표현한 것.  Peak value : Instantaneous maximum value within a period of a signalPeak value : 주기적신호(Periodic signal)에서 한 주기 내 도달 할 수 있는 순간적인 최대값. Peak to peak value : this value descries that speak how much space or valtage rangethe siganl takes up in the electrical circuit & indicates how much a membrance must move in a p..

Loudness & Level 2024.06.24

Sound Power, Sound Intensity

Sound Power : 음원이 단위시간 당 발생시키는 전체 에너지로 단위는 W(와트), SWL로 표현.  Sound Power(음력)은 일정한 비방향성 값이므로 테스트 환경이나 측정거리가 주어지지 않아도 출력을 비교할 수 있다. 즉 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. Sound Intensity : The flow of sound energy per unit time carried by the sound waves per unit are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at area Sound Intensity : 특정 단면에 수 방향으로 흐르는 소리 에너지의 양을 단위 면적과 단위 시간에 따라 측정하는 것. Intensity는 단위면적당 Sound Energy이므로 Intens..

Loudness & Level 2024.06.24

Log vs decibel scale

다음 표에서 Pressure값을 Pa단위로 최대 가청 갑솨 최소 가청 값을 비교해 보면 엄청 큰 차이를 가진다. 그리고  Pa 단위를 사용해하면 그래프로 소리를 표현할 수 없게 된다. 음원거리PressureLog(p)Log(p/p_0)최대 가청 값귀 바로 옆100Pa2.06.7부부젤라1m20Pa1.306도로 소음10m0.20Pa-0.694청소기 소리1m0.063Pa-1.203.5대화 소리1m0.020Pa-1.693평범한 방안 소리집 내부 안0.0063Pa-2.202.5조용한 방안 소리집 내부 안0.00063Pa-3.201.5호흡소리집 내부 안0.000063Pa-4.200.5최소 가청 값귀 바로 옆0.000020Pa-4.690 하지만 각 음원을 로그 척도를 이용해 선형적인 관계를 만들어 주면 각 음원을 표..

Loudness & Level 2024.06.23

Pressure

소리는 압력파(pressure wave)다. 마이크는 언제나 압력파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소리를 만든다. 귀는 압력변화에 민감해 작은 기압들의 조절이 소리로 탄생한다. 소리는 공기의 전파를 통해 발생하며  이 전파는 음속으로 모든 방향으로 전파된다. 즉 소리가 매체에 의해 전파되려면 Pressure가 발생해야한다. Pressure를 나타내는 단위로 국제적으로 파스칼을 사용한다. 1Pa = 1N/m^2 (1제곱미터 당 1뉴턴의 힘이 작용되는 압력) Pressure의 값은 거리와 반비례한다. 낮에 우리는 들으려고 노력해도 호흡소리가 들리지 않는다. 반면 밤에 침대에 누우면 우리는 호흡소리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. 그 이유는 주변 잡음이 있는 상황에서 압력성분은 귀에 감지 되지 않기 떄문이다.

Loudness & Level 2024.06.23

Loudness, volume, level, amplitude, gain, drive

Loudness, volume, level, amplitude, gain, drive 항목은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지만 오디오 프로그래머로서 차이를 이해해야만 하는 것들이다. 소리가 얼마나 크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그 질문에 대답하긴 쉽지 않다. 그러나 몇개의 소리에 대한 개념을 이용하면 쉽게 표현할 수 있다. Objectctively measurable : 객관적인 수치화는 같은 조건의 수치를 제공하면 매번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설계된 단위이다.- Level / Amplitude : 어느 시간의 신호의 순간 값 (음원이 마이크에 포착돼 전기 신호로 변환되면 전기 케이블을 통과하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) - almost dB scale- Gain / Drive : 입력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..

Loudness & Level 2024.06.23